장위동에는 어떤 초등학교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각각의 학교들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죠~ 장위동에는 총 4개의 초등학교가 있죠~ 장곡 초등학교, 장위 초등학교, 장월 초등학교 그리고 사립인 광운 초등학교. (월곡 초등학교는 애매하게 걸쳐 있어서 일단 제외했어요 ^^) 장위 초등학교와 장곡 초등학교가 장위동 한가운데 위치를 하고 있고, 장월 초등학교는 강북구와 맞닿아 있는 쪽에, 광운 초등학교는 노원구와 맞닿아 있는 쪽에(광운 대학교 옆에라고 보는게 맞겠죠 ^^) 각각 위치하고 있습니다. # 장위 초등학교(http://www.jangwicho.es.kr/index/index.do) 1946년 11월 21일 숭인공립국민학교 장위분교장으로 설립 되었으며, 1949년 11월 1일 서울장위국..
장위동의 인구 통계 자료 입니다. 출처는 국가통계포털(KOSIS)입니다. # 장위 1동 남성 : 12,155 여성 : 12,442 총 인원 : 24,597 # 장위 2동 남성 : 10,789 여성 : 10,754 총 인원 : 21.543 # 장위 3동 남성 : 9,203 여성 : 8,914 총 인원 : 18,117 2010년 기준 자료라 현재와는 많이 다를 것 같은데요. 다들 아시겠지만 현재는 재개발로 이주도 많이 하셨고 공사 중인 곳이 많아서 사람이 많이 없습니다.... 공사가 끝나고 사람들이 다시 많아져서 2020년 자료에는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종 목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25호 명 칭 장위동김진흥가옥 (長位洞 金鎭興 家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일곽(759평) 지정(등록)일 1977.09.05 소 재 지 서울 성북구 돌곶이로34길 4-11 (장위동)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김진흥 상 세 문 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문화체육과 02-2241-2652 장위동김진흥가옥에 대한 설명입니다.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의 남편 윤의선이 지은 집이다. 고종 2년(1865)에 지었으며, ㄷ자형 안채와 ㄱ자형 사랑채, ㄷ자형 중문간 행랑채, ㄷ자형 별채, 一자형 별당채로 구성되어 있다. 중대문에 들어서면 안마당의 전면에 안채가 자리하고 있다.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건넌방이 있고 ㄱ자로 ..
# 유래 마을 뒤에 장위산이 있던 데서 유래됨. # 설명 장위동 동명은 조선 초에 장위리라고 한 것으로 보아, 마을 뒤에 장위산(獐位山)이 있어 유래되었는데, 후에 한자 표기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장위동은 조선 초부터 한성부 성저(외) 지역이었고, 고종 4년(1867)에 발간된 ≪육전조례≫에 의하면 한성부 동부 숭신방 장위리계에 속하였다. 1895년 제도개혁 때는 한성부 동서(東署) 인창방 동소문외계 장위리가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에 예속시켰다. 이듬해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로 경성부 성외 지역에 8면제를 시행할 때 장위동은 경성부 인창면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성부 구역을 축소할 때는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