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유래
마을 뒤에 장위산이 있던 데서 유래됨.
# 설명
장위동 동명은 조선 초에 장위리라고 한 것으로 보아, 마을 뒤에 장위산(獐位山)이 있어 유래되었는데, 후에 한자 표기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장위동은 조선 초부터 한성부 성저(외) 지역이었고, 고종 4년(1867)에 발간된 ≪육전조례≫에 의하면 한성부 동부 숭신방 장위리계에 속하였다. 1895년 제도개혁 때는 한성부 동서(東署) 인창방 동소문외계 장위리가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에 예속시켰다. 이듬해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로 경성부 성외 지역에 8면제를 시행할 때 장위동은 경성부 인창면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성부 구역을 축소할 때는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에 속하여 광복 때까지 계속되었다.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이 확장될 때 재편입되어 동대문구에서 분리된 성북구에 속하였다. 그 이튿날 대통령령 제160호로 성북구에 숭인출장소가 설치되어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지역을 관할하였는데 장위리도 여기에 속하였다. 1950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구조례 제10호로 동명 개정이 있을 때 장위리는 장위동이 되었으며,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780호로 숭인출장소가 폐지됨에 따라 성북구에 속하여 오늘에 이른다.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이 확장될 때 재편입되어 동대문구에서 분리된 성북구에 속하였다. 그 이튿날 대통령령 제160호로 성북구에 숭인출장소가 설치되어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지역을 관할하였는데 장위리도 여기에 속하였다. 1950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구조례 제10호로 동명 개정이 있을 때 장위리는 장위동이 되었으며,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780호로 숭인출장소가 폐지됨에 따라 성북구에 속하여 오늘에 이른다.
# 출처
서울지명사전, 2009. 2. 1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반응형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위동] 만화책 대여점 (0) | 2016.03.02 |
---|---|
[장위동] 교육 '초등학교' (0) | 2016.03.02 |
[장위동] 행사, 축제 (0) | 2016.03.02 |
[장위동] 인구 통계 (0) | 2016.03.02 |
[장위동] 문화재/유적 '김진흥 가옥' (0) | 2016.03.02 |